마인어(말레이-인도네시아어)에 바하기(bahagi)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나누다, 베풀다'는 뜻이죠. 범어 바가(भग bhága)에서 왔는데요, 바가에는 물론 나눈다는 뜻도 있습니다만 '행복', '부'의 뜻도 있고 나아가 신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불교에서 부처를 흔히 세존(世尊)이라 칭하지 않습니까? 이 세존의 범어가 바가완(भगवान्bhagavān), 즉 바가를 가진 이(वान् vān)라는 의미입니다. 

나눈다는 것과 부, 또 신과는 무슨 관련일까요? 이 단어의 원시인구어 어근 *bhag-은 나눈다는 뜻으로, 아마 분배의 의미가 먼저였던 듯 합니다. 아마 '무언가를 분배하는 자' -> '분배(권)을 소유한 자' -> 위대한 사람 -> 신, 뭐 이런 식의 의미확장이 아닌가 합니다. 

범어와 같은 인도이란어족에 속하고 현대 페르시아어(이란어)의 전신인 아베스타어를 보면 이 문제는 더 확실해집니다. 아베스타어의 baɣa-는 '부분, 몫'이라는 뜻인데 '신'의 의미이기도 합니다.

인도어와 이란어는 과거에 동일한 문화권과 종교에 속했으니, 그 문화에서는 무언가를 분배할 권한을 지닌 이가 위대한 자로 추종되었던 것일까 하고 추측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입니다.

이와 비슷한 개념은 영어의 로드(lord, 主)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듯 합니다. 로드는 고대영어 hlāfweard에서 왔는데요, 이는 '빵을 관리하는 이'라는 뜻입니다. 즉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빵(나아가 음식)을 분배하는 이의 이름이 '우두머리'라는 뜻으로 쓰였다는 것이죠.

어쨌든 아베스타어의 baɣa-는 여러 방면에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일단 노어가 페르시아어에서 이런저런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단적인 예로 노어로 신을 뜻하는 단어가 보그(бог)입니다. 두말할 것 없이 페르시아어에서 온 것이죠. 또한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بغداد‎)도 페르시아어로 '신(بغ)이 주었다(داد)'는 페르시아어에서 따온 이름이라고도 합니다.

Posted by 역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