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을 뜻하는 영단어 머슬(muscle)은 불단어 뮈슬(muscle)로부터, 나아가 라틴어 무스쿨루스(musculus)로부터 옵니다. 이는 무스(mus)의 지소사로, '작은 쥐' 정도 되는 의미지요. 근육이 꿈틀꿈틀 움직이는 것이 마치 쥐가 움직이는 것을 연상했던 고대 인구족이 쥐와 근육을 비슷한 단어로 부르면서 생긴 현상으로, 영어뿐만 아니라 노어 믜슈(мышь  쥐) - 믜슈차(мышца 근육) 등 많은 인구어족 언어에 유사한 대응관계가 있습니다. 그리스어 뮈스(μῦς)는 아예 그 자체로 쥐나 근육이라는 뜻이죠.

그러면 근육의 근筋자는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요? 일단 육월(肉)자와 힘 력(力)을 합쳤습니다. (肉자는 이 경우 月로 변합니다.) 갈비뼈 륵(肋)자와는 관계없는, 문자 그대로 '힘줄'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위에 대나무 竹을 씌웠습니다. 이유야 당연히 대나무도 근육처럼 섬유로 된 것이기 때문이겠지요.

같은 근육이지만 고대 인구족은 동물에, 중국인들은 식물에 비유한 것이 흥미롭습니다.



Posted by 역자
,

노어로 창문은 아크노(окно)입니다. '눈'(目)을 뜻하는 옛말인 오카(око)에서 왔는데요, 즉 창문은 집에 달려있는 '눈'이라는 셈이죠. 영어의 윈도우(window, 창문)도 비슷한 경우입니다. 고대노르드어 vindauga에서 왔는데, vind(바람)과 auga(눈)의 합성, 그러니까 바람이 지나는 눈이라는 것입니다.

불어로는 프네트르(fenêtre)이고 이것은 라틴어 페네스트라(fenestra)에서 왔습니다. 많은 게르만어도 이 단어를 받아들였지요. 독어의 펜스터(Fenster) 등등. 반면 영어도 페네스터(fenester)라는 단어가 16세기 중반까지는 쓰였다고 하네요. 지금도 이 라틴어와 관련된 영단어가 몇몇 존재하고 있는데 페네스트레이션(fenestration)이라고 하면 건축학에서 '창문 설계'의 의미입니다.

한편 포어 자넬라(janela) 역시 창문이라는 뜻인데, 이것은 라틴어로 문을 뜻하는 야누아(janua)의 지소형인 *januella가 변한 것입니다. 말하자면 '작은 문'이 되겠지요.

Posted by 역자
,

인구어족 언어를 보면 '가볍다'와 '허파'를 의미하는 단어가 같은 어근에서 온 경우가 많이 보입니다. 영어의 라이트(light, 가볍다)와 렁(lung, 허파)만 봐도 그렇죠. 또한 라이츠(lights)는 '양의 허파'라는 뜻이랍니다. 노어로 룍키(лёгкий, 가볍다)와 룍코예(лёгкое, 허파)도 있고요. 라틴어로 레비스(levis)라고 하면 가볍다라는 뜻인데, 포어로 레비(leve)라고 하면 허파란 의미입니다. 그리스어 플레오몬(πλεύμων, 허파)와 플레오(πλέω, 뜨다)도 있죠.

인구어 어근으로 '가볍다'는 *legwh입니다. 허파를 뜻하는 단어 역시 이 어근에서 온 이유는 허파가 다른 장기에 비해 물에 둥둥 뜰 정도로 가볍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Posted by 역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