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어(말레이-인도네시아어)가 얼마나 다양한 어원의 언어인지 나타내기 위해 흔히 드는 예가 '책'을 뜻하는 마인어 단어입니다. 똑같은 책인데 범어에서 온 푸스타카(पुस्तक pustaka), 아랍어에서 온 키탑(كتاب kitab), 네덜란드어에서 온 부쿠(buku)라는 3가지 단어가 있지요. 물론 세 단어 각자 어감이 다르구요.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의 식민지이기도 했기에 특히 네덜란드어에서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부쿠(buku)라고 하면 영어 북(book)을 콩글리시로 읽은 것 같지만 사실은 네덜란드어 부크(boek)에서 온 것입니다.
네덜란드어가 영향을 끼친 언어는 인니어뿐만이 아닙니다. 현대 벨기에가 불어/네덜란드어가 공용으로 쓰이는 국가인 것에서 보아도 알 수 있듯이 네덜란드어와 불어는 항상 이웃 언어였고 이들이 서로 주고받은 영향은 의외로 큽니다.
네덜란드에는 지소사(指小詞)가 특히 많이 쓰입니다. 그러니까 부크에 접미사 -je를 붙여 boekje라고 하면 '작은 책'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이게 꼭 크기가 작다는 의미가 아니더라도 뭔가 덜 중요한, '책 한 권 쯤'의 뜻이 되는 것이지요.
중세 네덜란드어의 boek의 지소형은 boeckijn이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불어로 건너가서 부캥(bouquin)이 되지요. 지금은 그냥 리브르(livre)와 차이없는 '책'이라는 뜻입니다만 옛날에는 '고서(古書)'라는 의미였나 봅니다. 네덜란드를 통해 희귀한 장서를 들여왔던 것일까요? 이와 연관된 부키니스트(bouquiniste)라는 '헌책상인'라는 단어도 있습니다.
인터넷 시대가 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책은 우리의 생활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중요한 물건인데도, 의외로 많은 언어에서 책이라는 단어가 외래어인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어의 '책(冊)'만 하더라도 중국에서 왔으니까요. 일본어의 혼(本)도 뿌리 본(本)의 독음이고, 일의 근본, 기초라는 뜻에서 그 기초, 규범을 가르쳐주는 책이라는 뜻으로 변화된 것이니, 궁극적으로는 중국에서 온 것이라 하겠습니다.
그런데 중국에서 책이라는 단어를 들여온 게 어찌보면 동아시아 언어만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러시아어로 책은 크니가(книга)인데요, 어원은 불분명합니다. 고대 스칸디나비아어로 규범, 지식 등을 의미하는 kenning에서 온 것이라는 사람도 있고, 또 터키어 küin에서 온 것이라는 사람 있는데, 이 터키어 단어는 중국의 책 권(券)을 통해 온 것일수도 있다고 하네요. 현대 한어로는 '취앤'인데 상고발음은 '크니가'에 얼마나 가까웠는지 모르겠네요. 심지어는 券이 아니라 고전인 시경(詩經)의 발음의 변형이라는 설도 있는데...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지?
'세계의 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원 이야기 13회 - 성형수술과 가스 (0) | 2012.07.14 |
---|---|
어원 이야기 12회 - 황금사과의 정체는? (0) | 2012.07.13 |
어원 이야기 10회 - 슬라브족과 게르만족의 애증관계? (0) | 2012.07.11 |
어원 이야기 9회 - 이런 개새...(?) (1) | 2012.07.10 |
어원 이야기 8회 - 사람이 모이면 좋을 것 없다? (0) | 201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