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스터스 초이스, '맛보는 이의 선택'
원시인도유럽어 어근은 *geus-에는 크게 세 갈래의 뜻이 있습니다.
1. 맛보다
2. 시도하다
3. 즐기다
전혀 관계없는 의미로 보이지만 사실 생각해보면 서로 연관있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왜, 한국어에서도 '맛보기'라는 단어를 '시험해보기'라는 의미로도 쓰지 않습니까? 반대로, 영어의 트라이(try, 시도하다)에도 '맛보다'는 의미가 있구요. 그런 개념의 혼재가 아닐가 합니다.
인도유럽어족의 파생언어는 대체로 이 세 의미 중 일부를 선택하여 발전시킨 듯 합니다. 꽤나 흥미로운 주제이기에 이러한 의미론적 변화 역사를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1. 게르만어 - kausjan(고트어)
고트어라는 게르만어의 일파가 있습니다. 한때는 유럽 전역에서 쓰이다 6세기에 고트족이 프랑크족에 패하면서 점점 기울어가더니 8, 9세기경에 사멸했지요. 기록으로 남아있는 게르만어 중에서는 가장 오래되었으면서도 자손(?)을 남기지 못하고 사멸했습니다. 그러나 워낙 유럽 여기저기 퍼져있던 고트족이라 그런지 다른 게르만어 뿐만이 아닌 로망스어, 슬라브어계통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러시아어로 '먹다'는 쿠샤치(кушать)입니다. 이 단어는 고트어에서 온 것으로, 고트어 kausjan은 '시도해보다, 맛보다' 등의 의미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고트어 단어는 불어의 슈아지르(choisir, 선택하다)로도 변화되었습니다. 이 슈아지르 내지는 슈아(choix)에서 영어의 '선택하다'의 뜻인 추즈(choose)와 '선택'의 초이스(choice)가 되었구요.
즉 '시도해보다/맛보다'의 중의적인 의미의 단어가, 노어에서는 전자의 의미를 중심으로 발달하였고, 불어에서는 후자의 의미를 중심으로 발달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고트어 외에도 다른 게르만어에도 이 계통의 단어가 있습니다. 독일어 코스튼(kosten, 맛보다) 등이 그 예지요.
2. 로망스어 - gustus(라틴어)
이 어근에서 또한 라틴어 구스투스(gustus, 맛보기)라는 단어가 나오고, 여기에서 로망스어로 '맛'을 뜻하는 단어가 파생됩니다. 이탈리아어 구스토(gusto), 불어 구(goût) 등이 있지요. 스페인어로 구스타(gustar)하면 '마음에 들다'라는 뜻의 동사지요. '미 구스타(mi gusta)'는 '마음에 들어, 좋아'라는 뜻입니다.
프랑스 사람들이 한국 도시 '대구'의 이름을 들으면 실소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불어로 '역겨움, 질림, 짜증남'을 의미하는 데구(dégoût)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이지요. '구'에 부정형인 데(dé-)가 붙은 것인데요, 이 단어는 영어로 건너가서 혐오, 징그러움을 의미하는 디스거스트(disgust)가 됩니다.
계속!
'세계의 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원 이야기 16회 - 신은 나누어주는 자? (4) | 2012.07.17 |
---|---|
어원 이야기 15회 - 골라먹는 재미 (下) (0) | 2012.07.16 |
어원 이야기 13회 - 성형수술과 가스 (0) | 2012.07.14 |
어원 이야기 12회 - 황금사과의 정체는? (0) | 2012.07.13 |
어원 이야기 11회 - 책의 어원 (1) | 2012.07.12 |